전략이 필요하고, 머리를 쓰기 때문인지 컴퓨터 바둑 게임하기는 질리기는 커녕 하면 할수록 재미가 깊어지는 것 같아요. 그래서인지 찾으시는 분들 역시 꾸준합니다.
기왕이면 무료로 플레이를 하면 더 좋을 거예요. 그래서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를 아래쪽에 모두 엮었습니다. 혹시 PC 버전으로 찾고 있으셨다면, 하단의 정보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!
일반적인 컴퓨터 바둑 게임 하기 종류
여러 가지 유형의 PC 바둑이 있는데, 가장 일반적이면서 가장 잘 알려진 종류는 타이젬, 한게임, 피망, 넷마블과 같은 플랫폼을 통하는 종류입니다. 유명하기 때문에 대국 상대가 많다는 장점이 있지만, 하루 무료 플레이 횟수에 제한이 있다거나, 다른 방식으로 제한을 두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- 그래서 한 종류만 선택하는 것보다는 여러 가지 종류를 동시에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. 그럼 각각의 제한된 횟수를 더 늘리는 것이 가능합니다.
유명한 종류는 말 그대로 유명한 종류이기 때문에 포털에서 검색을 하면 바로 공식 홈페이지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. 홈페이지에서는 설치 파일을 받아서 실행하고,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한 뒤에 대국실 입장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.
- 홈페이지는 저마다 다른 모습을 갖고 있지만, 애초에 어렵고 까다롭게 만든 곳이 아니기 때문에 사이트를 찾을 수만 있다면 이요하는 것 자체는 어려운 구석히 전혀 없을 거예요.
먼저 정리한 유형은 워낙 유명하고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제가 따로 추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. 그러니 다음 유형으로 빠르게 넘어가볼게요.
간편해서 좋은 두 번째 방식
두 번째로 얘기할 수 있는 방식은 따로 설치 과정이 없습니다. 그냥 바둑이 있는 사이트를 찾아가서 실행하면 바로 컴퓨터 바둑 게임하기 과정이 진행됩니다. 따로 대국 상대를 기다리거나, 찾아가는 방식이 아니라 그냥 PC와 대전하는 방식이예요.
- 상대의 전략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판을 즐기다 보면 금방 적응되고 난이도가 낮아집니다. 그만큼 재미도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어요. 하지만 가볍게 플레이를 몇 번 하고 싶을 땐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먼저 얘기한 종류와 마찬가지로 검색하면 바로 여러 가지 종류를 찾을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종류 한 가지만 얘기를 하자면, 아래쪽 그림에서 사이트 주소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.
검색하거나 주소를 입력해서 방문하셨다면, 아래 그림과 같이 숫자로 된 버튼들이 나올 거예요. 바둑판의 크기를 나타냅니다. 원하는 종류를 선택해주세요. 공식은 역시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겠죠?
바둑판 크기를 선택한 뒤에는 컴퓨터와 대국을 하시면 됩니다. 두는 방법 자체는 저보다 훨씬 잘 알고 계실 것 같아요. 그리고 몇 번 두면 금방 상대방의 전략을 파악하고 승리를 가져오실 수 있을 것입니다.
- 요즘에는 학습하면서 실력을 키우는 PC와 대국을 해보는 것도 가능합니다. 조금 더 난이도가 있고, 복잡한 AI를 원하신다면 바둑 AI를 검색해서 기원에서 제공하는 종류를 플레이해보세요.
가장 간단한 세 번째 방법
마지막으로 얘기할 종류는 지금까지 정리해둔 유형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방식입니다. 설치하고 다운로드라는 과정이 없으며, 회원가입과 로그인도 없죠. 하지만 다양한 유저와 대국을 할 수는 있습니다. 이번에도 찾아가는 방식은 이미지로 설명을 대신할게요.
위의 이미지를 참고하셔서 사이트를 방문하셨다면, 게스트 버튼을 눌러서 플레이를 하시면 됩니다. 로그인 버튼을 눌러서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할 경우 대국 기록을 저장해둘 수 있습니다. 하지만 필수는 아니며, 애초에 로그인하는 것 자체가 귀찮기도 해서 권장하지는 않아요.
- 플레이를 해보고 서비스가 마음에 든다면, 다음에 또 사용하기 위해서 미리 브라우저 북마크에 저장을 해두면 좋습니다.
이쯤에서 마지막으로 컴퓨터 바둑 게임하기 방법과 관련된 얘기 하나만 더 정리를 하고 갈무리를 할게요. 앞서 PC에서 실행하는 방식 위주로 정리를 했는데, 사실 스마트 기기에서 정리하는 앱 역시 모니터로 화면을 띄우는 것이 가능합니다. 즉, 기기 종류를 구분할 필요가 없어요. 그럼 더 많은 종류를 찾아서 플레이를 할 수 있죠.
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모니터에 띄우는 방법은 이 글의 주제와 거리가 있으니, 다음에 기회가 되면 따로 엮어보겠습니다. 감사합니다!